위키독스
온라인 책을 제작 공유하는 플랫폼 서비스
wikidocs.net
참고 사이트
1. 리스트 이해하기 / 리스트 합치기 (+) , 반복 (*)
1
2
3
4
5
6
7
8
|
# 리스트 이해하기
a = [1,2,3,4,5]
b = ['Hello','Girl','Boy']
c = [1,2,'Hello']
d = [1,2,3,4,5,['Hello','Girl','Boy']
print(a*3) # [1, 2, 3, 4, 5, 1, 2, 3, 4, 5, 1, 2, 3, 4, 5]
print(a+b) # [1, 2, 3, 4, 5, 'Hello', 'Girl', 'Boy']
|
cs |
2.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 찾기 / 바꾸기 등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|
# 순차적 리스트 만들기 (range)
num = [ i for i in range(1,11)]
print(num) #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
# 특정 요소 찾기
k = [1,2,3,[4,5,6]]
print(k[0]) # 1
print(k[3]) # [4,5,6]
print(k[3][0]) # 4
# 특정 요소 위치 찾기 (index)
print(k.index(2)) # 1
print(k.index(4)) # ValueError : 4 is not in list
# 특정 위치의 요소 변경
l = ['a','b','c','d','e']
l[l.index('b')]='change!'
print(l) # ['a', 'change!', 'c', 'd', 'e']
|
cs |
3. 슬라이싱 이해하기
1
2
3
4
5
6
7
8
9
|
# 슬라이싱 이해하기
oddeven = ['a','A','b','B','c','C','d','D','e','E','f','F','g','G']
print(oddeven[0::2]) #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]
print(oddeven[1::2]) #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]
print(oddeven[::-1]) # ['G', 'g', 'F', 'f', 'E', 'e', 'D', 'd', 'C', 'c', 'B', 'b', 'A', 'a']
print(oddeven[::-2]) # ['G', 'F', 'E', 'D', 'C', 'B', 'A']
print(oddeven[-2::-2]) # ['g', 'f', 'e', 'd', 'c', 'b', 'a']
print(oddeven[::-1][1::2]) # ['g', 'f', 'e', 'd', 'c', 'b', 'a']
|
cs |
4. 리스트 역순 (reverse,reversed)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|
# 리스트 요소 역순 (reverse : 원본변경)
listdata = list(range(5))
print(listdata) # [0, 1, 2, 3, 4]
listdata.reverse()
print(listdata) # [4, 3, 2, 1, 0]
# 리스트 요소 역순 (reversed : 원본변경x)
listdata2 = list(range(5))
print(reversed(listdata2)) # <list_reverseiterator object at 0x000002A956EDD408>
print(list(reversed(listdata2))) # [4, 3, 2, 1, 0]
print(listdata2) # [0, 1, 2, 3, 4]
|
cs |
5. len / count / append / insert / del / remove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|
# 리스트 길이 (len)
A = [1,2,3,4,5,5]
print(len(A)) # 6
# 특정 요소 개수 구하기 (count)
print(A.count(1)) # 1
print(A.count(5)) # 2
# 리스트에 요소 추가 (append)
A.append(6)
print(A) # [1, 2, 3, 4, 5, 5, 6]
#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요소 추가 (insert)
A.insert(0,'hello')
print(A) # ['hello', 1, 2, 3, 4, 5, 5, 6]
#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있는 요소 제거 (del)
del A[1]
print(A) # ['hello', 2, 3, 4, 5, 5, 6]
del A[1:3]
print(A) # ['hello', 4, 5, 5, 6]
# 리스트의 특정 요소 제거 (remove)
A.remove(5)
print(A) # ['hello', 4, 5, 6] 앞에서부터 한개만 삭제
|
cs |
6. 리스트 요소 정렬 (sort,sorted)
1
2
3
4
5
6
7
8
9
10
|
# 리스트 요소 정렬 (sort : 원본변경)
B = [1,8,7,3,5,9,2,6]
B.sort()
print(B) # [1, 2, 3, 5, 6, 7, 8, 9]
# 리스트 요소 정렬 (sorted : 원본변경x)
B2 = [1,8,7,4,5,9,2,6,3]
print(sorted(B2)) # [1, 2, 3, 4, 5, 6, 7, 8, 9]
print(B2) # [1, 8, 7, 4, 5, 9, 2, 6, 3]
|
cs |
7. pop(del처럼 특정 위치에서 꺼낼 수 있음) / extend
1
2
3
4
5
6
7
8
9
10
|
# 리스트 요소 끄집어내기(pop)
C = [1,2,3]
C.pop() # 3
print(C.pop()) # 2
print(C) # [1]
# 리스트 확장(extend)
D = [10,11,12,13]
D.extend([14,15])
print(D) # [10, 11, 12, 13, 14, 15]
|
cs |
8. shuffle
1
2
3
4
5
6
7
|
# 리스트 무작위로 섞기 (shuffle)
from random import shuffle
music = ['작사가','일이 너무 잘 돼','너의 이름은','에잇','MORE & MORE']
shuffle(music)
print(music) # 매번 결과 바뀜
|
cs |
9. enumerate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|
#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인덱스와 쌍으로 추출하기 (enumerate)
name = ['홍길동','임꺽정','장길산','김삿갓']
name_enumerate = list(enumerate(name))
print(name_enumerate) # [(0, '홍길동'), (1, '임꺽정'), (2, '장길산'), (3, '김삿갓')]
for i , name in enumerate(name) :
print(i,name)
# 0 홍길동
# 1 임꺽정
# 2 장길산
# 3 김삿갓
|
cs |
'코딩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일 읽고 쓰기 (0) | 2020.06.15 |
---|---|
부가적인 파이썬 이해하기 (0) | 2020.06.15 |
집합 자료형 이해하기 (0) | 2020.06.11 |
딕셔너리 이해하기 (0) | 2020.06.11 |
문자열 이해하기 (0) | 2020.06.10 |